중기부, 내년 예산 13.4조원.. 팁스-모태펀드 대폭 늘어


중소벤처기업부는 2020년 예산이 2019년 10.3조원 대비 30.2%(3.1조원) 늘어난 13.4조원으로 확정됐다고 발표했다.

중기부의 2020년 예산은 ‘연결이 강한 힘을 만든다’는 기조 아래 스마트 사회로의 전환 등 중소기업의 미래 성장과 창업·벤처기업의 도약(Scale-Up), 소상공인․자영업자가 온라인쇼핑 확대 등 변화된 소비환경에 대응하도록 상점의 스마트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데 초점이 맞춰졌다. 

미래 성장기업 창출을 위한 연구개발(R&D) 예산은 2019년의 1조 744억원에 비해 4,127억원 늘어난 1조 4,871억원으로 증액 반영하였다. 특히, 인공지능(AI), 스마트센서 등 미래 분야 R&D 사업을 다수 신규로 반영하여 , 향후 신성장산업 창출 발판을 마련했다. 

창업․벤처기업의 도약을 지원하는 예산도 크게 늘렸다.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3대 혁신산업분야의 스타트업을 본격적으로 돕도록 300개 스타트업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사업을 신설하고 450억원을 배정했다. 

제2 벤처붐 확산과 연계하여 벤처투자 열기가 지속되고 확산될 수 있도록, 투자재원의 마중물 역할을 하는 모태펀드 출자 예산을 8천억원을 반영했다. 올해 2,400억원에 비해 대폭 늘어난 수치다. 내년 모태펀드 예산은 소재부품장비 분야육성, 3대 혁신분야 창업, 스타트업의 스케일업 등 우리 경제의 미래를 책임지는 기업에 대한 투자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민간과 정부가 함께 기술 스타트업을 키우는 팁스(TIPS)도 올해 389억원에서 대폭 늘어난 544억원을 배정했고, 민간에서 검증된 유망한 스타트업이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도 신설하고 120억원을 배정했다.

지역경제의 균형 성장과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규제자유특구 예산을 확대 반영하였다. 금번 국회 예산 심사과정에서 대폭 늘어난 1,103억원을 반영*함으로써 1차 지정된 7개 규제자유특구 뿐 아니라 2차로 지정된 규제자유특구 지원을 위한 재원을 확보했다.   

이는 규제자유특구의 신기술·신서비스 실증과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한R&D, 효과적인 실증 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 시제품 고도화 등의 사업화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자영업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2020년 예산을 제때 적재적소에 집행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