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비대면 바우처 공급기업 359개사 선정.. 내년까지 6,400억원 투입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화상회의, 재택근무, 네트워크‧보안솔루션, 온라인교육 등의 비대면 서비스를 공급할 기업으로 359개사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8월 13일부터 8월 24일까지 비대면 서비스 공급기업을 모집했는데, 총 613개사의 신청 기업 중에 3단계 과정을 거쳐 총 359개사가 선정했다. 제공 서비스를 기준으로는 412개의 서비스가 제공된다.

서비스 분야별로는 재택근무 분야 175개(42.5%), 에듀테크 분야 91개(22.1%), 네트워크‧보안 솔루션 분야 58개(14.1%), 화상회의 분야 55개(13.3%) 순으로 선정됐다. 이번에 선정된 공급기업은 오는 23일까지 ’K-비대면 바우처 플랫폼‘(이하 플랫폼)에 기업의 정보와 제공하려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예정이다.

비대면 서비스를 도입하려는 중소기업(수요기업)의 요구에 부합되는 공급기업을 수요기업이 골라서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수요기업들의 사업 참여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8월 19일부터 수요기업 신청접수를 수시로 받고 있는데, 공급기업이 선정되기 전 임에도 불구하고 접수 개시 이후에 지난 17일 기준으로 5,453개사가 신청하는 등 많은 중소기업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수요기업으로 선정되면 공급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400만원 한도(자부담 10% 포함)에서 이용할 수 있다. 

중기부는 K-비대면 바우처 플랫폼을 통해 1석 3조의 정책 목표를 제시했다.

첫 번째 목표는 2021년까지 총 16만개 중소기업의 원격ㆍ재택근무 도입 등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수요기업들에 의해 검증받고 평가받은 공급기업들을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유니콘기업으로 집중 육성하는 것이다. 2021년까지 민간 자부담금(640억원)을 포함해 총 6,400억원의 막대한 재원이 투입돼 비대면 서비스 시장이 확대되는 만큼 이를 디딤돌 삼아 계속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글로벌 성장 가능성이 높은 공급기업에는 융자와 투자, 연구개발(R&D), 글로벌 진출 등 중기부의 다양한 정책수단들을 제공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향후 K-비대면 바우처 플랫폼이 비대면 서비스 시장의 허브 역할을 넘어 정부 행정혁신의 기초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플랫폼 진화 방안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중기부의 차정훈 실장은 “사업이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하면, 공급기업과 수요기업들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불편하고 부족한 점들은 계속 보완해서 K-비대면 바우처 플랫폼이 우리나라 비대면 서비스 시장 활성화의 거점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