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유치 시 가장 큰 고충은 실적 위주 보수적 투자심사” 벤처협


벤처기업협회는 벤처기업의 투자유치 현황과 애로 파악을 위해 실시한 ‘벤처기업 투자유치 현황 및 애로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23년 6월 말 기준, 벤처투자유형의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벤처투자 현황’, ‘투자유치 관련 애로’, ‘투자유치 활성화에 필요한 정책 지원’ 등을 조사하고, 총 308개사가 응답했다.

응답기업은 투자유치 시 ‘실적 위주의 보수적인 투자심사’, ‘기업가치 저평가’, ‘투자유치 관련 지식, 노하우 부족’ 등의 순으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가 요구하는 사전동의권 유형으로 ‘후속투자유치(신주 발행 등)’가 18.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합병 및 분할’이 17.0%, ‘주요 자산 매각’이 15.4%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응답기업의 36.8%는 투자자 사전동의 조항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했다고 응답했고, 해당 조항으로 ‘신속한 의사결정’(34.7%), ‘자금조달’(18.9%), ‘경영 간섭’(13.7%) 등의 애로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유치를 위해 필요한 지원으로 ‘정부의 벤처투자 예산 확대’를 31.0%로 가장 높게 꼽았고, 다음으로 ‘국내외 투자자와 네트워킹 활성화(20.7%)’, ‘기업형 벤처캐피탈(CVC)제도 활성화(17.6%)’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벤처기업협회는 “이번 조사를 통해 투자유치에 성공한 벤처기업의 투자유치 현황과 투자유치 관련 애로와 개선사항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라며, “이번 설문 등을 통해 취합된 벤처기업의 투자유치 애로와 정책적 지원 요구 사항을 협회의 ‘‘23년 하반기 핵심추진 정책과제’에 반영해 지난 ‘’23년 벤처썸머포럼’에서 발표했고, 이를 기반으로 하반기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활동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