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스케일업 팁스’ 등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에 1,179억원 신규 지원… 글로벌 지원 강화  


중소벤처기업부는 전략적 R&D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기술경쟁력을 제고하고자 ‘2025년 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모집공고‘를 실시한다고 16일 밝혔다. 

중기부는 작년 말에 1.5조원 규의 2025년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통합공고를 실시한 바 있다. 오늘 설명하는 내용은 스케일업 팁스로 대표되는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사업’이다. 이 외에도 팁스(TIPS)로 대표되는 창업성장기술개발 사업이 있다.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사업은 혁신역량 단계별 R&D 지원과 신속한 사업화를 통해 기업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779개 신규과제를 선정해 1,179억원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전체 지원규모는 5,680억원 기존 과제 1,959개에 4,501억원도 지원한다. 

먼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우위를 선점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략기술분야 지원 비율을 50% 이상으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중소벤처R&D 13대 전략분야(①AI, ②바이오, ③탄소중립, ④첨단로봇‧제조, ⑤반도체‧디스플레이, ⑥첨단모빌리티, ⑦차세대통신, ⑧사이버보안, ⑨수소, ⑩이차전지, ⑪원자력, ⑫양자, ⑬우주항공‧해양)에서 124개 전략품목을 선정하고, RFP 과제기획 등을 통해 중소기업 R&D의 전략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민간투자전문회사(VC) 등이 주도적으로 유망 기업을 검증하고, 먼저 투자한 후 추천하는 기업에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스케일업 팁스’ 지원을 확대한다. R&D 지원을 통해 기업이 본격적으로 해외진출할 수 있도록 ‘스케일업 팁스 글로벌 트랙’을 신설한다. 국내를 넘어 글로벌 협력 및 해외투자 유치, 해외시장 진출에 도전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3년간 최대 15억원의 R&D 자금을 지원한다.

또한 팁스 기업이 스케일업 팁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팁스 성공기업과 스케일업 팁스 운영사 간 정기적 만남을 기획하고, ‘올해의 팁스기업’에 가점을 부여하는 등 정책간 연계성과 연속성을 강화한다. 

그동안 대기업·연구소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국제공동연구를 중소벤처기업도 본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글로벌 협력형 R&D’를 신설한다. 해외 우수 연구진과의 공동연구, 해외 선도 연구기관의 보유 기술을 활용한 상용화 및 사업화를 통해 국내 혁신기업이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메사추세츠 공과대(MIT), 퍼듀대 등 북미의 우수기관과의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협력을 시작하고, 향후 협력 국가와 연구기관을 확대할 예정이다. 

중기부 박용순 기술혁신정책관은 “2025년에는 인공지능, 바이오테크, 탄소중립 기술 등 미래 유망 기술 중점 지원, 글로벌 우수 기관과의 협력 R&D 강화 등을 통해 중소기업 R&D 성과가 국가 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은 상반기, 하반기 과제로 구분된다. 오는 17일 공고하는 상반기 과제 접수기간은 2월 17일까지다. 스케일업 팁스, 글로벌 협력형, 기술이전‧사업화 등 일부사업은 별도 공고한다.

한편, 창업성장기술개발은 초기 단계 기업에 대한 지원으로 팁스, 디딤돌 등의 사업이 있고,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사업은 좀 더 성장한 중소기업의 전략적 R&D를 지원는 사업으로 스케일업 팁스가 대표적이다. 이 외에도 산학연 콜라보 R&D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통합공고를 참고하기 바란다.

http://wowtale.danbilabs.com/2024/12/29/235409/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

많이 본 기사